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브람스, 교향곡 1번 - 10번 교향곡 브람스는 '교향곡 1번'을 완성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구상에서 초고, 마지막까지 걸린 시간은 무려 21년이 소요되었습니다.20대에 시작한 교향곡은 40대에 완성된 셈인데 브람스의 음악 인생과 함께 여서인지 그가 작곡한 곡 중 가장 극적이고 중후함이 느껴지는 진한 사골 같은 곡입니다.1876년 드디어 완성이 되었고 사람들은 브람스를 베토벤 뒤를 잇는 차기 작곡가라 칭하며 '교향곡 1번'을 가리켜 '독일 교향곡', '10번 교향곡'이라 불렀습니다***교향곡 1번***독일의 음악사에서 베토벤의 위력을 대단합니다.브람스 역시 대선배이며 거장인 베토벤의 뒤를 이어야 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부담감과 독일 음악의 자존심을 훼손시키면 안 된다는 압박감이 그를 짓눌렀습니다.브람스는 '교향곡 1번'을 착수했지만.. 더보기 브람스, 교향곡 2번 - 브람스의 전원 교향곡 독일의 작곡가 요하네스 브람스는 총 4곡의 교향곡을 남겼습니다. 그중 '교향곡 2번'은 전원적인 분위기와 푸근한 선율 때문인지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과 비교되곤 합니다.그래서 교향곡 2번을 '브람스의 전원 교향곡'으로 불립니다.밝고 단순하며 즐겁고 명쾌한 느낌이 전체적인 곡의 흐름을 이끌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브람스만의 고독과 쓸쓸함이 묻어나는 독특한 색깔의 걸작입니다.브람스는 '교향곡 1번' 초연 후 '교향곡 2번'을 단숨에 완성해 1877년 초연이 이루어집니다.20여 년의 오랜 고민과 산고 끝에 어렵게 완성된 교향곡 1번에 비해 속도전으로 작곡한 '교향곡 2번'은 평론가와 대중들의 찬사과 사랑을 한 몸에 받았습니다.***교향곡 2번의 탄생***브람스는 교향곡 1번을 21년 만에 완성하고 그 많은 시간만.. 더보기 Graduation Tears(진추하) - 사랑의 스잔나 1976년 한국과 홍콩의 합작으로 탄생한 영화 '사랑의 스잔나'에는 유명한 2곡의 ost가 있습니다. 그 2곡은 'One summer night'과 'Graduation Tears'입니다.2곡 모두 진추하가 불렀고 청순한 보이스와 애잔한 멜로디가 잘 어우러져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에서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눈물의 졸업이라 번역되는 'Graduation Tears'는 학교에서 벗어난다는 해방과 즐거움, 희망, 동시에 그동안 쌓인 정, 눈물 등이 아련하게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합니다.실제 졸업과 관련된 배경 음악으로 쓰이기도 하고 1970년대 후반 고등학생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도 등장하기도 했습니다.영화는 2024년 1월에 재개봉되어 상영되기도 했습니다.***진추하***홍콩 출신의 가수.. 더보기 브람스, 교향곡 제3번 - 작은 교향곡 1883년 브람스는 '교향곡 제3번'을 완성합니다.교향곡은 3번의 이탈리아 여행과 헝가리, 폴란드 등에서 음악적 영감과 아이디어를 얻고 휴가차 갔던 바덴바덴에서 무려 6년의 시간이 지나 완성되었고 그때 그의 나이 50세였습니다.6년의 장기간에 걸쳐 작곡한 것에 비해 교향곡치고는 35분의 짧은 연주로 브람스 교향곡 중 가장 짧은 교향곡이라는 의미에서 '작은 교향곡'이라고 부릅니다.'교향곡 3번'은 당당하고 힘이 있으며 경쾌, 심플, 명료하고 깔끔함이 특징인데 그런 점에서 교향곡 1번과 2번과는 완전히 달랐습니다.교향곡이 베토벤의 영웅 교향곡과 분위기가 비슷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부드럽고 논리적입니다.작곡할 당시 브람스는 가곡도 다수 작곡을 했고 가곡의 선율은 교향곡에도 영향이 미쳐 가곡의 섬세.. 더보기 브람스 교향곡 제4번 - 마지막 교향곡 브람스는 생애 4개의 교향곡을 남겼고 '교향곡 제4번'이 네 번째이자 마지막 교향곡입니다.그가 쓴 4개의 교향곡은 베토벤의 교향곡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가치를 인정받고 특히 4번은 고전적인 음악과 현대적인 기법이 잘 융합된 역작으로 손꼽힙니다.브람스가 50세가 되던 1884년 여름 1, 2악장을 완성하고 그 다음해 1885년에 3, 4악장을 작곡합니다.평소 여러 곡을 한꺼번에 작곡하는 브람스의 스타일과는 다르게 '교향곡 4번'에만 몰두합니다.***교향곡 4번***'교향곡 4번'은 베토벤이나 하이든, 모차르트처럼 화려하지는 않지만 가슴 속 어딘가를 건드리는 묘한 느낌이 김돕니다.전체적으로 슬픈 선율이 차지하고 있지만 그 속에 녹여든 감미로움은 은근한 중독성으로 청각을 자극합니다.그리고 브람스 자신의 죽음을.. 더보기 브루크너, 교향곡 제4번 - 낭만적 안톤 브루크너는 총 6개의 교향곡을 남겼는데 그중 '교향곡 제4번'은 그의 독특한 음악적 성격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거기에 짜임새 있는 구성 때문인지 가장 대중적이고 사랑받는 곡으로 브루크너 교향곡을 처음 접한다면 입문용 교향곡으로 제4번부터 시작합니다.그리고 브루크너의 교향곡 중 최초이자 유일한 장조 교향곡인데 단조의 다른 교향곡에 비해 훨씬 밝고 유래진 느낌입니다.제4번 교향에는 '낭만적'이라는 부제가 있는데 브루크너가 직접 썼습니다.낭만이라고 해서 흔히 아는 그 느낌을 상상했다면 큰 오산이고 브루크너의 낭만은 그 장르가 다릅니다.흔히 아는 낭만과는 거리감은 있지만 장조라는 점과 브루크너의 이색적인 음악적 감성으로 접근해서 감상을 한다면 새로운 낭만을 느낄 수 있을 듯합니다.***'교향곡 제4번'의.. 더보기 브루크너 교향곡 제8번 - 묵시적 브루크너는 오랜 시간에 걸쳐 '교향곡 제8번'을 완성했습니다.그는 1악장의 구상과 스케치가 마무리하고 그 사이 다른 곡들을 작곡하느라 점점 미루다 3년 후 완성이 되지만 다시 수정 작업을 거쳐 1892년 빈에서 초연이 되었습니다.브루크너의 10번째 교향곡이면서 마지막 교향곡입니다.교향곡은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에게 헌정되었습니다.규모와 악기 편성 등의 외양적인 면이나 음악적 구성, 완성도에서 브루크너의 최고 걸작이자 교향곡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명작 중 하나로 손꼽히는데 브루크너는 역시 '나의 가장 아름다운 교향곡'이라 인정했습니다.***교향곡 제 8번의 초연이 늦어진 이유브루크너는 교향곡 제 7번의 성공에 자신감을 얻고 바로 제8번 작곡에 착수합니다.그는 곡을 완성하고 헤르만 레비에게 먼저 알립니.. 더보기 영화 부베의 연인 (La Ragazza Di Bube) ost '부베의 연인 (La Ragazza Di Bube)'은 1963년 개봉한 루이지 코멘치니 감독의 이탈리아 영화입니다.두 영화의 주인공 죠지 차키리스와 마르코 미셸은 생소한 이름이지만 당시에는 전설적인 배우입니다.영화의 흑백 필름은 시간을 흐름을 느끼게 하고 전쟁이 배경이지만 여주인공의 순수하고 순박함이 인상적인 작품입니다.그리고 슬픈 선율이 돋보이는 부베의 연인 배경음악은 영화보다 더 유명합니다.카르로 루스티첼이 작곡했고 2004년 사망하지 전까지 무려 250여 곡의 영화 음악을 맡은 거장입니다.원작은 이탈리아이지만 프랑스, 영국 등의 유럽에서 번역이 되었고 우리나라에도 한때 70년대 다방에서 자주 감상하던 음악이었다고 하네요.***영화 줄거리***영화는 살인죄로 14년형을 선고 받고 복역 중인 연인 ..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