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발라키레프의 이슬라메이 - 동양풍 환상곡 밀리 발라키레프의 대표적인 피아노 곡 이슬라메이는 1869년 완성됩니다.코카서스 지방을 여행하며 받은 영감을 민속 음악을 기반으로 한 피아노의 선율에 담아 단 한 달 만에 작곡한 곡으로 유명합니다.피아니스트 루빈스타인에게 헌정되었고 곡이 완성된 해인 1869년에 초연이 됩니다.민속적인 선율과 더불어 이슬람풍의 오리엔탈적인 멜로디가 더해지면서 화려하고 이국적인 매력으로 동양풍 환상곡이라는 부제도 붙여집니다.***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피아노 곡"훌륭한 곡이지만 아주 어렵습니다.소수만이 이 곡을 연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이 곡을 초연한 루빈스타인은 공연을 마친 후 이슬라메이에 대해 이렇게 언급합니다.그는 이 곡을 훌륭히 소화했지만 내심 무척 어렵고 힘들었다는 말을 이렇게 표현함으로써 피아니스트들에게는 재.. 더보기
스트라빈스키의 페트루슈카 - 페트루슈카에서의 3악장 페트루슈카는 러시아의 작곡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음악으로 불새, 봄의 제전과 더불어 그의 3대 발레 음악으로 1911년 완성되어 파리에서 초연이 되었습니다.한 여자를 사랑한 두 남자의 이야기로 스트라빈스키와 디아킬레프가 공동작업한 두 번째 발레곡입니다.1막 축제, 2막 페트루슈카의 방, 3막 무어인의 방, 4막 페트루슈카와 무어인의 싸움과 페트루슈카의 죽음의 4막 구성에 발레와 더불어 화려한 악기군과 개성적인 멜로디가 특징입니다.현재는 발레를 생략하고 관현악으로만 공연이 일반적입니다.***페트루슈카에서의 3악장발레 음악 페트루슈카는 1921년 피아니스트 루빈스타인을 위해 피아노 곡이 됩니다.원곡의 3막은 생략하고 1, 2, 4막만 편집해 '페트루슈카에서의 3악장'으로 완성되었습니다.러시아 민속 민.. 더보기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바이올린 곡 6가지 바이올리니스트조차 고개를 설레설레 흔드는 난곡 중의 난곡,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바이올린 연주라 불리는 곡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6곡을 소개하겠습니다.1.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9번 크로이처1802~4년에 걸쳐 작곡된 바이올린 소나타 9번은 베토벤의 대표적인 소나타이자 완성도 높은 예술성이 뛰어난 걸작입니다.톨스토리의 소설의 영향으로 크로이처라는 부제가 붙여져 크로이처 소나타로 더 유명한데 사실 프랑스 바이올린스트의 이름이기도 합니다.당시 바이올리니스트 로돌프 크로이처에게 헌정했지만 진작 그는 어렵고 난해한 곡이라 싫어했습니다. 2. 파가니니의 24 카프리스24개의 연습곡 형식의  무반주 바이올린 독주곡으로 파가니니가 남긴 유일한 작품입니다.바이올린으로 할 수 있는 최대치의 기교와 파가니니의 유머러.. 더보기
로카텔리의 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Op.3과 24개의 카프리치오 파가니니가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이름을 알렸다면 그 이전에 로카텔리가 있었습니다.기교적인 바이올린 연주에 있어서는 원조 또는 초대 연주자로 통하는 인물이 바로 안토니오 로카텔리입니다. 그는 바이올린 비르투오소*로서 소신 있는 곡들을 작곡한 걸로 유명한데 그중 바이올린 기법으로 알려진 세 번째 기악 모음곡 바이올린 협주곡 Op.3가 대표적입니다.*비르투오소-깊고 뛰어난 지식을 가진 학자 전문가를 총칭하는 명칭으로 거장이라는 의미와 비슷합니다.그가 당시 활동하던 암스테르담에서 1733년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곡의 정신 명칭은 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Op.3과 24개의 카프리치오입니다.***카프리치오전 곡을 연주하는 것은 드물지만 현악 합주 중 현재 카텐차라 불리는 카프리치오는 초절기교 고난도의  무.. 더보기
바르토크,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벨라 바르토크의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은 1908년에 작곡된 그의 대표적인 곡입니다.현대 음악의 다양성과 깊이감, 헝가리 민속 음악의 정체성이 결합한 이 곡은 현대 음악을 재해석해 독창적이고 신선함까지 더한 바르토크에게 20세기 현대 클래식의 거장이라는 타이틀을 안겨주었습니다.처음에는 바이올린 협주곡으로만 불리다가 바르토크 사후 또 다른 바이올린 협주곡이 발견되면서 바이올린 협주곡 2번으로 불려지게 됩니다.***바이올린 협주곡 2번으로 불려진 이유이 협주곡은 바르토크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알려져 따론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습니다.그러다 그가 사망하고 14년 후인 1959년 또 다른 바이올린 협주곡이 발견됩니다.바르토크가 청년 시절 작곡했고  처음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1번이라 붙이고 유일한 곡.. 더보기
바흐, 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타 3번 E장조, BWV1006 바흐가 쾨텐 궁정악장을 지내던 시절 그의 음악적 기량은 절정에 달했습니다.그는 '청명하고 예리한 소리로 바이올린을 연주했다'라고 할 만큼 바이올린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고 실제 음악의 중심은 바이올린이었습니다.그 결과 1720년경 3개의 소나타와 3개의 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타(BWV1001~1006)가 완성되었습니다.소나타는 1번 G단조,  BWV1001, 2번, A장조, BWV1003, 3번 C장조 BWV1005이고 파르티타는 1번 B단조 파르티타 BWV1002, 2번 D단조 파르티타 BWV1004, 3번 E 장조 파르티타 BWV1006으로 6곡 모두 통주저음 없는 무반주 바이올린 독주곡입니다.그중 '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타 3번 E장조, BWV 1006'도 이때 완성됩니다.***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 더보기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라단조 Op.47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1904년 작곡됩니다.1903년 완성되었지만 수정 작업을 거친 후 1905년 베를린에서 초연을 합니다.세계 4대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불리는 브람스, 베토벤, 멘델스존, 차이코프스키의 바이올린 곡은 음악적 예술성과 완성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은 작품입니다.비록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4대 바이올린 협주곡의 범주에 들지는 못했지만 개성적인 매력을 추가된다면 작품적인 가치에서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명작입니다.브람스는 내면의 깊고 풍부한 화성적 전개가 핵심이라면 멘델스존은 경쾌하고 밝은 서정적인 선율이, 베토벤은 웅장하고 장엄한 철학적인 접근방식을 곡이며 차이코프스키는 극적이며 화려한 기교가 특색입니다.그렇다면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북유럽의 광활한 자연경관이 한눈.. 더보기
베토벤의 크로이처 소나타와 톨스토이 ***베토벤의 크로이처 소나타1802~1804년에 걸쳐 작곡된 크로이처 소나타의 정식 명칭은 바이올린 소나타 9번으로 3악장으로 구성되었습니다.당대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 크로이처에게 헌정곡이라는 의미에서 크로이처라는 부제가 붙여졌습니다.원래는 베토벤이 영국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브리지스톤과 함께 바이올린 소나타 9번을 함께 초연을 하면서 그에게 헌정한 곡이었습니다.그런데 그의 나쁜 행실이 들통나면서 헌정을 철회했고 결국 크로이처에게 돌아갑니다.크로이처는 이미 다른 연주자와 초연이 끝났고 다른 사람에게 헌정된 곡을 번복해 자신에게 왔다는 것에 대한 불쾌감을 드러내면서 몹시 싫어했다고 합니다.무엇보다 빠른 템포와 폭넓은 음역대로 연주하기가 무척 까다로웠다는 점도 그의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또, 피아노와 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