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벨라 바르토크의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은 1908년에 작곡된 그의 대표적인 곡입니다.
현대 음악의 다양성과 깊이감, 헝가리 민속 음악의 정체성이 결합한 이 곡은 현대 음악을 재해석해 독창적이고 신선함까지 더한 바르토크에게 20세기 현대 클래식의 거장이라는 타이틀을 안겨주었습니다.
처음에는 바이올린 협주곡으로만 불리다가 바르토크 사후 또 다른 바이올린 협주곡이 발견되면서 바이올린 협주곡 2번으로 불려지게 됩니다.
***바이올린 협주곡 2번으로 불려진 이유
이 협주곡은 바르토크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알려져 따론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그가 사망하고 14년 후인 1959년 또 다른 바이올린 협주곡이 발견됩니다.
바르토크가 청년 시절 작곡했고 처음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1번이라 붙이고 유일한 곡으로 알고 있던 협주곡에는 2번의 번호가 부여되어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으로 불려지게 됩니다.
현재 1번보다는 협주곡 제2번이 잘 알려졌고 자주 연주됩니다.
반응형
***세계에서 가장 어러운 바이올린 협주곡
음악 역사상 연주 기교나 표현력이 어려운 난곡들이 있습니다.
바르토크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도 그 난곡 중 항상 상위권에 링크되는 곡으로 바이올리니스트의 혼을 빼놓을 만큼 실력과 역량을 판가름하는 곡으로 유명합니다.
1악장 도입부터 고혹적인 매력을 살려내기 위해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의 협업과 섬세함을 필요로 해 고도의 집중력을 요하기도 합니다.
그 덕분에 20세기 최고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협주곡은 헝가리 바이올리니스트 졸탄 세케이의 의뢰로 작곡되어 1939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초연이 됩니다.
바르토크는 오랫동안 수집하고 연구한 헝가리 민속 음악과 현대적인 화성과 기법을 협주곡에 절묘하게 융합해 흥미진진하고 독특한 음악으로 탄생시킵니다.
강렬한 표현력과 5 음계, 반음계, 12음 기법 등의 복잡한 리름감과 화성, 무엇보다 다채롭고 독창적인 변주곡은 듣는 사람들에게 신선한 자극을 주기도 합니다.
협주곡은 3악장 구성입니다.
1악장은 아주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선율이 특징이고 2악장은 민족적인 색채와 7개의 변주, 그리고 독주 바이올린의 연주가 감상 포인트입니다.
3악장은 민속 무곡에 발췌한 음률들이 주류를 이루며 경쾌 발랄한 악장으로 협주곡의 상징적인 성격이 압축되어 있고 작곡가 버르토크의 생각과 의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바르토크, 바이올린 협주곡 2번(정경화)
***같이 보면 좋은 글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바이올린 곡 6가지
바이올리니스트조차 고개를 설레설레 흔드는 난곡 중의 난곡,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바이올린 연주라 불리는 곡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6곡을 소개하겠습니다.1.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9번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