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로카텔리의 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Op.3과 24개의 카프리치오

반응형

파가니니가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이름을 알렸다면 그 이전에 로카텔리가 있었습니다.

기교적인 바이올린 연주에 있어서는 원조 또는 초대 연주자로 통하는 인물이 바로 안토니오 로카텔리입니다. 그는 바이올린 비르투오소*로서 소신 있는 곡들을 작곡한 걸로 유명한데 그중 바이올린 기법으로 알려진 세 번째 기악 모음곡 바이올린 협주곡 Op.3가 대표적입니다.

*비르투오소-깊고 뛰어난 지식을 가진 학자 전문가를 총칭하는 명칭으로 거장이라는 의미와 비슷합니다.

그가 당시 활동하던 암스테르담에서 1733년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곡의 정신 명칭은 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Op.3과 24개의 카프리치오입니다.

***카프리치오

전 곡을 연주하는 것은 드물지만 현악 합주 중 현재 카텐차라 불리는 카프리치오는 초절기교 고난도의  무반주 바이올린 독주는 기교적인 면이 상당해 따로 연주되기도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바이올린 곡 순위에는 반드시 존재하는 곡 중 하나로 디테일하고 어려운 난곡이라는 증거는 이런 부분에서 알 수 있습니다.

최고 4옥타브를 넘나드는 넓은 음역과 128분 음표까지 빠른 템포는 바이올린 현이 끊어질 듯한 기교에 음악의 음자도 모르는 사람도 정말 어렵겠다는 말이 나올 정도이고 연주자에게는 그 순간만큼은 초집중과 고문과도 같은 시간입니다.

로카텔리의 곡들은 대부분 특별한 변주나 전개가 없는 간결하고 단순란 구성이라 듣기에 따라 조금은 지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올린만큼은 화려한 기교로 기억에 남는 매력적인 곡들로 채워집니다.

반응형

***안토니오 로카텔리

로카텔리는 비발디, 타르티나와 함께 바로크 시대 대표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 불리고 연주 실력도 상당했다고 전해집니다.

신들린 바이올린 연주하면 떠오르는 인물은 파가니니이지만 100년 전으로 거슬러가면 로카텔리가 있었습니다.

이탈리아 베르가모에서 출생한 그는 코넬리에게 사사하고 암스테르담에서 활동한 바로크 시대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로 바이올린 역사에서 큰 영향력을 준 인물이며 파가니니 역시 그 영향을 받았습니다.

음악뿐 아니라 문학, 과학, 예술, 신학, 지리학 등 다방면의 학문에 조예가 깊고 상당한 자료들로 수집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바로크 음악가들이 그랬든 그의 곡들은 남아 있는 것보다 유실된 것이 더 많고 현재까지 악보를 찾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로카텔리, 카프리스(Locatelli: Caprice-Ilya Gringolts)

 

***같이 보면 좋은 글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바이올린 곡 6가지

바이올리니스트조차 고개를 설레설레 흔드는 난곡 중의 난곡,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바이올린 연주라 불리는 곡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6곡을 소개하겠습니다.1.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9번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