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 1곡 프렐루드

반응형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여섯 개의 무반주 첼로곡을 모아 놓은 곡입니다.

역사상 무반주 솔로 첼로곡 중 최고로 손꼽히며 첼리스트에게는 첼로의 구약성서라 불리는 역작입니다.

바흐가 30세를 갓 넘긴 무렵에 완성했지만 악보가 분실되면서 1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알려지지 않다가 우연한 기회에 발견됩니다.

첼로 이미지 사진
첼로 이미지 사진

***무반주 첼로 모음곡의 부활***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세상에 알린 사람은 첼로의 성자라 불리는 파블로 카잘스입니다.

그는 어릴 적 바르셀로나의 작은 고서점에서 악보를 발견합니다.

발견된 무반주 첼로 악보는 바흐의 보인 안나 막달레나의 필사본이었는데 바흐의 자필 서명이 있는 원본 악보는 소실되었습니다.

필사본의 악보의 표지에는 '교회 악장 J.S 바흐 작곡, 통 주저음이 없는 첼로 독주를 위한 6개의 모음곡'이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는 오랜 시간 동안 연구와 해석, 연습을 통해 12년 후 드디어 150년을 잠자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이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파블로가  48세가 되던 1925년 첫 리코딩이 이루어졌는데 무반주 첼로 해석의 기준이 됩니다.

이런 이유로 파블로 카잘스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서 바흐만큼 중요한 인물입니다.

반응형

 

***무반주 첼로 모음곡***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1. 프렐루드, 2. 알르망드, 3. 쿠랑트, 4. 사라방드, 5. 미뉴에트, 6. 지그의 6곡으로 그중 가장 대중적인 곡은 1. 프렐루드입니다.

프렐루드는 독창적이고 중후하며 우아한 아름다움으로 첼로의 개성이 잘 표현된 곡으로 손꼽습니다.

첼로로 가능한 다양한 테크닉과 풍부한 표현력, 서로 얽혀 있는 듯 질서 있는 선율의 독특함 때문에 뛰어난 걸작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알르망드는 우아하고 낭만적인 독일풍의 무곡이고 쿠랑트는  프랑스의 옛 무곡풍으로 힘차고 리드미컬한 매력이 있습니다.

사라방드는 스페인의 옛 무곡으로 느리고 장중하며 미뉴에트는 유럽 전역에서 유행한 궁정 무곡, 그리고 지그는 영국에서 시작된 빠른 템포의 무곡입니다.

6곡 모두 고전적인 형태이지만 단순한 나열식의 악장이 아닌 곡 전체가 유기적인 흐름을 갖추어서

전체적으로 화려합니다.

 

모음곡의 작곡연대는 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바흐가 독일 쾨텐 궁정악장 시절인 1717년~1723년 사이에 작곡되었다고 추측하고 첼리스트 크리스티안 아벨을 위한 헌정곡이라는 설과 첼리스트인 링클리에게 영향을 받아서 작곡했다는 설 등 작곡된 이유에도 의견이 갈립니다.

현재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현대적으로 해석한 파워풀한 분위기와 바로크 음악의 형식에 충실한 무미건조한듯한 느낌을 강조한 해석으로 나누어지는데 첼리스트의 해석에 따라 감상해 보는 것도 흥미로운 발견이 될 것 같네요.

 

***동영상***

미샤 마이스키의 프렐루드

***같이 보면 좋은 글***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타 2번 - 5악장 샤콘느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타 2번'은 기악 모음곡으로 '샤콘느' 또는 '차콘나'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3곡의 파르티타가 있는데 2번이 유명하고 그중 '5악장 샤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