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바흐, 관현악 모음곡 2번 중 '바디네리'

반응형

'바디네리'는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2번'에 수록된 마지막 7번째 곡으로 농담, 익살스러운 행동, 가벼운 이야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관현악 모음곡 2번'  서곡, 론도, 사라방드, 부레, 폴로네이즈, 미뉴엣, 바디네리로 총 7곡입니다.

첫 번째 서곡은 프랑스 궁정 음악의 풍의 웅장한 곡이고  2번째부터 마지막까지는 다양한 나라의 춤곡으로 완성했고 전체적으로 프랑스 궁정 음악의 성격이 띠고 있어 우아함이 넘쳐흐릅니다.

***관현악 모음곡 2번 '바디네리'***

'바디네리' 모음곡의 마지막 곡으로 2분도 채 안 되는 아주 짧은 곡입니다.

장엄한 바로크적인 면모는 그대로 표현되면서 빠른 템포에 경쾌한 멜로디가 더해져 특색 있는 음악으로 탄생되었습니다.

'바디네리'는 브란덴부르크 협주곡과 함께 바흐의 대표적인 관현악곡으로 매해 6월 독일 라이프치이에서 개최되는 바흐 페스타에서 빠지지 않고 항상 연주되는 곡이기도 합니다.

플루트의 맑고 우아한 선율과 18세기 춤곡의 자유로운 악상의 매력까지 두드러지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관현악 모음곡***

바흐는 4개의 관현악 모음곡을 완성했습니다.

모음곡들은 지극히 독일스러운 다성음악*의 성격이 강하고 프랑스 궁정 음악의 웅장하고 우아한 선율이 등장하는가 하면 모음곡이지만 모음곡다운 구성과 형식을 따르지 않고 자율적이라는 점에서 음악적 모순이 많다고 평가되기도 합니다.

*다성음악-독립적인 성부가 둘 이상의 리듬을 구성해 서로 어울리는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음악

거기에 바흐의 곡들은 작곡연대가 불분명하고, 작곡의 동기, 의도 등을 알 수 없어서 많은 추측들과 설 등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런 불확실하고 모순적이며 애매모호한 점들은 신비주의로 전화되면서 오히려 더 특별한 모음곡으로 비치기도 합니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J.S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 No.4(BWV. 1049)

 

J.S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 No.4(BWV. 1049)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바로크 음악의 대표주자 J.S 바흐의 관현악곡 중 가장 영향력 있고 높이 평가받습니다.총 6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곡마다 악기 편성이 다르고 당시에 연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