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르디의 중기 오페라 중 하나인 '일 트로바토레'는 1853년에 작곡되었습니다.
오페라의 꽃은 단연 아리아죠.
'일 트로바토레'의 대표적인 아리아가 '대장간의 합창'이라면 극의 클라이맥스를 담당하는 아리아는 '저 타오르는 불꽃을 보라'가 있습니다.
3막 2장에서 화형을 당하는 아주체나를 구출하기 위해 하인들을 부르는 만리코가 부르는 아리아로 반드시 구출해야 한다는 굳은 의지와 비장함으로 극적인 긴장감이 가장 돋보이는 곡입니다.
***일 트로바토레***
'일 트로바토레'는 4부 형식의 오페라로 1400년경 중세 스페인의 비스케이와 아라곤 지방의 내전을 배경입니다.
'리골레토', '라 트라비아라'와 함께 베르디의 빅 3 오페라로 불리고 특히 '일 트로바토레'는 가장 정렬과 강인함이 도드라지는 작픔으로 평가받습니다.
반응형
사랑과 복수의 비극적인 스토리와 비장하지만 서정적인 선율이 교차하는 특색 있는 아리아들이 담긴 '일 트로바토레'는 베르디가 특히 아꼈다고 전해집니다.
로마에서 초연을 한 후 베르디는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 일 트로바토레에 대한 자부심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요즘 세계 어디를 가든 '일 트로바토레'의 음악들이 들리지 않는 곳이 없다네"
그는 오페라의 귀재답게 많은 오페라는 남겼지만 그가 평생 무한사랑한 오페라는 '일 트로바토레'였습니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베르디의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Il Trovatore)' 중 대장간의 합창
베르디의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Il Trovatore)' 중 대장간의 합창
'일 트로바토레(Il Trovatore)'는 베르디의 오페라로 그의 명성과 음악적 격을 한 단계 높인 작품입니다. 이 오페라는 중세 시대의 사랑과 복수의 비극적 스토리를 담고 있고 '일 트로바토레'라는 의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