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탱고 음악 '라 쿰파르시타(La Cumparsita)'는 우루과이의 마토스 로드리게스 몬테비데오의 곡입니다.
탱고는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상징적인 음악으로 끈질긴 생명력으로 지금까지 발전하고 계승되었지만 우루과이의 탱고는 'La Cumparsita'가 유일한 탱고 음악입니다.
'La Cumparsita'는 스페인어로 '거리의 가장행렬'이라는 의미이고 제목은 생소하지만 리듬만큼은 아주 익숙합니다.
이 곡은 '세계에서 단 하루도 연주되지 않는 적이 없는 곡'으로 유명한데 가장 많이 연주된 음악으로 기네스 북에 오른 적이 있는데요, 그만큼 일상에서 어떤 형태로든 듣게 되는 음악입니다.
로드리게스는 이 곡을 작곡할 당시 18살의 어린 청년이었습니다.
그는 앞부분을 작곡을 하고 더 이상 악상이 이어지지 않자 당시 유명한 탱고 연주자를 찾아가 조언을 구하게 됩니다.
그 탱고 연주자는 로베르토 피르포는 어린 로드리게스의 미완성된 '라 쿰파르시타'를 보자 완전히 매료되어 곡을 완성하는데 큰 기여를 합니다.
그렇게 '라 쿰파르시타'는 피르포의 도움으로 1916년 우루과이에서 탄생되었고 이후 연주자들 사이에서 점점 알려지기 시작해 1924년 아르헨티나의 가수가 이 곡에 가사를 붙이면서 노래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단 시간에 많은 탱고 가수들이 지침서로 자리 잡으면서 가장 사랑받는 노래가 되었습니다.
반응형
***라 쿰파르시타***
'라 쿰파르시타'는 3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피르포는 어린 작곡가의 곡을 어떻게든 좋은 탱고 곡을 완성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이 곡에 베르디의 오페라의 선율들과 'La guacha Manueia', 'Cuarda completa'의 피르포의 탱고곡 2곡,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의 '미제레레'를 응용해서 접목합니다.
이렇게 완성된 '라 쿰파르시타'는 청각을 압도하고 중독성이 강한 도입부와 관능적이고 매혹적인 곡으로 탄생합니다.
대부분의 탱고 음악은 아르헨티나이지만 우루과이에서 탄생한 '라 쿰파르시타'는 또 다른 개성과 마력을 가진 곡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동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