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840년은 슈만의 생애 가장 빛나는 걸작들이 탄생한 해였습니다.
'시인의 사랑'과 '여인의 사랑과 생애'가 같은 해에 완성되었고 대표적인 명곡이 됩니다.
'여인의 사랑과 생애'는 이델베르트폰 샤미소의 시에 곡을 붙여 전 8곡의 연가곡으로 여자의 생애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여인이 한 남자를 만나 설레는 결혼을 하고 어머니가 되는 기쁨과 나이가 들어 남편을 먼저 하늘로 보낸 허무한 마음을 섬세하게 잘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슈만의 연애사이고 아내 클라라를 모델로 그녀에게 바치는 사랑의 상징입니다.
클라라와의 결혼을 하기까지 험난한 고비와 어려움과 여자의 생애에 빗대어 작곡됩니다.
여자의 삶을 그리고 있지만 작사, 작곡이 남자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전 8곡을 감상하는데 20여분 정도 소요됩니다.
반응형
***여인의 사랑과 생애***
· 제1곡, 그를 만나고 나서
한 남자를 만나 첫눈에 반한 순수하고 어린 여인은 설레었지만 그 마음을 밖으로 표현하지 못합니다.
제1곡은 첫사랑의 설렘과는 다르게 어두운 선율로 이끌어가는데 남자의 모습만을 지켜보는 안타까운 심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제2곡, 누구보다 뛰어난 그대
사랑하는 사람의 모습과 이미지를 한껏 담고 있는데 8곡 중 가장 찬란하게 표현한 곡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피아노의 반복적인 리듬이 여인의 사랑하는 사람을 향한 두근거리는 심장 소리를 섬세하고 리얼한 선율로 행복감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 제3곡, 나는 모르겠네
여인은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받는 기쁨을 이야기합니다.
톡톡 끊어지는 듯 강한 스타카토로 여인의 기쁨과 또 한편으로 밀려오는 두려움도 함께 표현하고 있습니다.
· 제4곡, 내 손에 낀 반지
남자의 청혼을 받아들이는 여인의 마음을 노래하고 있고 가장 우아하면서 선율이 아름다운 곡입니다
· 제5곡, 얘들아, 나를 도와줘
결혼식을 앞두고 친구들에게 아름답게 꾸며달라는 부탁을 하는 곡으로 기족들, 친구들과 헤어질 때가 왔다는 의미를 담고 있고 전체적으로 슬픈 선율이 흐릅니다.
· 제6곡, 사랑하는 그대, 나를 의아하게
임신을 한 여인은 행복감과 자신감, 만족감을 담아내었습니다.
· 제7곡, 내 마음에 내 품에
아기를 안고 행복감에 젖은 어머니가 된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제8곡, 이제 당신은 처음으로 내게 고통을
남편은 죽고 혼자 남은 여인은 고통과 절망으로 슬픔에 빠지지만 담담히 받아들이는 여인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어둡고 강렬한 선율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여인의 모든 생애 희로애락을 담고 있습니다.
첫 번째 곡부터 절제해 온 셀렘과 기쁨의 순간들을 여인의 회상과 추억의 기억을 제8곡에서 피아노의 선율로 모두 끌어내고 있습니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겨울 나그네 중 '보리수'-슈베르트가 표현한 실연의 아픔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는 24개로 이루어진 그의 대표적인 연가곡*입니다. *연가곡-하나하나의 노래가 전체의 이야기를 이루면서 완성되는 모음곡. 슈베르트는 '겨울 나그네'를 시종일관 우울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