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레곡으로 유명한 차이코프스키는 1878년 바이올린 협주곡을 완성합니다.
그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이고 유럽의 클래식과는 분위기와 색채가 달라 세계 3대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불리는 베토벤, 멘델스존,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에 차이코프스키까지 더 해 세계 4대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불리는 명곡입니다.
섬세한 기교, 현대적인 선율, 러시아 전통 민요의 멜로디가 잘 어우러져 특유의 애잔함과 서정성으로 유럽과는 다른 독자적인 협주곡을 탄생시킵니다.
***바이올린 협주곡의 탄생
차이코프스키는 결혼 3개월 만에 이혼을 하고 힘든 시기를 보내는 중 바이올린을 배우게 됩니다.
그는 점점 바이올린에 재미를 붙였고 상처만 남은 그에게 위로였고 친구였습니다.
결국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고 싶다는 선택을 하게 되었고 결심과 동시에 한 달 만에 곡을 완성합니다.
초연은 관심을 받지는 못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이 곡의 진가가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반응형
협주곡은 3악장 구성입니다.
현재는 2악장이 대중적이고 인기가 있지만 작곡을 한 당사자 차이코프스키는 마음에 차지 않았고 2악장만 수정하는데 10일이 걸렸다고 합니다.
초연은 그의 동성 연인 코테크에게 지휘를 맡겼고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레오폴트 아우어에게 독주 연주를 부탁합니다.
아우어는 1악장을 연주하고는 아주 만족했다가 점점 어려워지는 고난도의 테크닉에 두려움과 걱정으로 초연은 기약 없이 미뤄졌습니다.
2년의 시간이 흐른 후 초연을 했지만 평은 좋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차이코프스키는 이러한 혹평에도 좌절하지 않고 영국에서 두 번째 공연이 이어졌고 성공을 하게 됩니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세계 3대 바이올린 협주곡이라면 베토벤과 멘델스존, 그리고 브람스입니다. 그리고 여기에 차이코프스키까지 더해 세계 4대 바이올린 협주곡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