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브람스는 생전 단 하나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남겼고 그의 최고의 역작이 됩니다.
베토벤과 멘델스존과 더불어 세계 3대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불리며 걸작의 반열에 올려 놓습니다.
피아노 실력이 대단했던 브람스가 피아노 협주곡이 아닌 바이올린 협주곡을 선택한 데에는 1877년이 우연히 듣게 된 사라사테의 바이올린 연주였습니다.
섬세하고 화려한 바이올린의 기교에 브람스는 매료되어 버립니다.
브람스는 4악장으로 구성을 계획했지만 최종적으로 알레그로 논 트로포, 아디지오, 알레그로 지오코소의 3악장으로 완성합니다.
작당한 무게감과 장중한 바이올린 협주곡을 원했고 그의 뜻대로 혐주곡이 완성되었습니다.
브람스는 대작을 작곡할 때마다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지만 그의 정신적 압박과 노력은 기대를 저버지 않았습니다.
반응형
***브람스와 요아힘***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의 탄생에는 요아힘의 힘이 컸습니다.
두 사람의 만남에는 레메니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브람스의 피아노 연주를 듣고 있던 바이올리니스트 레메니는 감동을 받고 자신의 연주 여행에 동행하기를 제안합니다.
그렇게 두 사람의 여행은 시작되었고 독일에서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하임을 만남을 가지게 됩니다.
요제프는 브람스의 피아노 연주와 음악적 재능, 우직한 성격에 매료되어 친분과 우정을 쌓아갔고 생의 마지막까지 이어갑니다.
요하임은 브람스가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을 할 때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3옥타브 이상 오르내리는 음폭과 까다로운 테크닉이 부담스러웠던 요하임은 브람스에게 조심스럽게 수정을 부탁했다고 합니다.
브람스는 그의 요청을 정중히 거절했고 요아힘은 아쉬움에 슈만과 클라라에게 하소연을 하기도 했다는 일화가 전해지기도 합니다.
연습하는 과정에서는 갖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초연은 아주 성공적이었습니다.
***동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