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드보르작, 현악 4중주 '아메리카'

반응형

드보르작은 현악 4중주 '아메리카'를 단 3일 만에 스피드 하게 완성을 했습니다.

이 곡은 그의 음악적 매력을 마음껏 표현된 곡으로 마일드한 바람과 같은 바이올린의 선율의 도입부가 포인트라 할 수 있습니다.

드보르작의 대표적인 명곡들은 대부분 미국에서 탄생합니다.

체코가 고향인 드보르작은 뉴욕 국립 음악원 부원장을 맡게 되면서 3년간 미국에 머물게 됩니다.

미국은 그에게는 신세계였고 색다른 경험과 영감은 음악으로 고즈란히 표현이 됩니다.

'신세계 교향곡'을 시작으로 현악 4중주 '아메리카' 등이 미국에서 완성되었습니다.

당시 뉴욕의 바쁜 생활에 지쳤던 드보르작은 오하이오로 휴가를 가게 되는데 그곳의 전원을 벗 삼아 현악 4중주 '아메리카'가 탄생합니다.

미국 오하이오
미국 오하이오

***현악 4중주 '아메리카'***

미국의 오하이오 주 작은 시골 마을에서 휴가를 즐기는 중 드보르작은 그 곳의 경치에 반하게 됩니다.

뉴욕의 화려한 모습과는 달리 오하이오 주는 고향 체코를 떠올리게 하는 곳이었습니다.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풍광에 그는 3일만에 이 곡을 작곡을 합니다.

숲 속에 부는 시원한 바람에 나뭇잎이 흔들려 내는 소리부터 숲과 강의 자연을 연상시키는 평화로운 멜로디는 '아메리카'를 제목으로하고 있지만 실상은 고향을 위한 곡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이 곡은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악장은 자연의 정취를, 2악장은 고향에 대한 향수와 그리움을 담고 있는데 '신세계 교향곡' 2악장의 선율과 흡사합니다.

3악장은 드보르작의 작품 중 가장 유머러스한 곡으로 독특한 리듬과 과장된 악센트, 드라마틱한 요소들이 가득합니다.

4악장은 경쾌하지만 교회 오르간의 선율을 곳곳해 배치해 경건함과 유쾌함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독특한 악장입니다.

그리고 미국 인디언의 노래, 흑인 영가 5 음계, 민요의 음률 등을 발췌해 현악  4중주에 접목을 해 미국의 정취가 있는 특별한 곡으로 탄생됩니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드보르작,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From the new world)'

 

드보르작,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From the new world)'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드보르작의 초히트작은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라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드보르작의 교향곡 신세계로부터는 드보르작의 교향곡 중 마지막 작품입니다. 드보르작은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