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오페라 카르멘의 '서곡' - 시작을 알리는 제1막 전주곡

반응형

'카르멘'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고 수많은 오페라 중 최다 공연을 한 오페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친숙한 선율과 관능적 열정이 넘치는 작품으로 정열적인 스페인을 느낄 수 있는 '카르멘'은 한번 보면 결코 잊을 수 없을 만큼 강력한 인상을 줍니다.

오페라 '카르멘'의 원작은 프랑스의 작가 프러스페르 메리메의 소설 '카르멘'으로 소설의 내용은 1830년대 스페인 안달루시아를 답사하던 고고학자가 우연히 탈영병 돈 호세와 만나면서 펼쳐지는 이야기로 액자식 구성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소설의 첫 장면에서 돈 호세는 "안달루시아에서 가장 악명 높은 도적"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카르멘

***카르멘의 줄거리***

배경은 19세기 초 스페인의 세비야.

군인인 돈 호세는 화려한 옷을 입고 정렬적인 하바네라를 추고 있는 카르멘에게 첫눈에 반해버립니다.

돈 호세는 고향의 약혼자도 잊을 만큼 카르멘의 유혹을 이기지 못합니다.

카르멘은 담배 공장에서 일을 했고 어느 날 담배 공장에 싸움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 주동자는 카르멘이었습니다.

돈 호세는 카르멘을 연행을 하게 되고 카르멘은 그를 유혹하는 노래를 부르며 그를 혼란에 빠지게 만들어 버립니다.

그녀의 유혹에 돈 호세는 뭔가에 홀린 듯 그녀를 풀어주고 이 일을 계기로 그는 감옥살이를 하게 됩니다.

이후 카르멘은 밀수 업자가 됩니다.

한편 세비야의 어느 술집

투우사인 에스카밀로는 카르멘을 보자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그리고 감옥에서 나온 돈 호세는 밀수업자를 잡아들이는 명령을 받게 되고 그 일을 수행하던 중 들린 술집에서 카르멘과 재회를 합니다.

돈 호세는 그녀에게 자신을 사랑한다면 같이 떠나자고 제안을 하고 에스카밀로는 자신의 투우 경기에 카르멘을 초청합니다.

투우 경기가 열리는 날.

투우사 에스카밀로는 카르멘과 함께 등장을 합니다.

이를 목격한 돈 호세는 질투심에 휩싸여 카르멘에게 다시 한번 함께 멀리 떠나자고 강력하게 설득을 하지만 그녀는 거절합니다.

돈 호세의 분노는 극에 달아 칼을 뽑아 들고 카르멘에게 향합니다.

쓰러진 카르멘을 보는 순간 그는 한동안 멍하니 있다 그녀를 부둥켜안고 오열합니다.

반응형

 

***카르멘 서곡***

오페라 '카르멘'의 서곡은 유명한 곡으로 오페라 공연은 보지 못해도 서곡은 아주 익숙합니다.

서곡의 가장 큰 특징은 에스카밀로를 표현한 밝은 행진곡풀, 그리고 그와 대조적인 호세의 어두운 운명의 멜로디가 교차하면서 오페라 전페 스토리를 교묘하게 잘 버무려 놓았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서곡은 매우 빠른 템포로 연주로 유명한데요, 오케스트라는 연주가 끝나면 연주자들이 넉다운된다는 후문이 종종 들리기도 합니다.

카르멘 포스터

***카르멘의 2가지 성격***

오페라 '카르멘'은 2가지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꼬미끄 형식'과 '그랜드 형식'이 그것입니다.

'카르멘'은 1875년 파리의 오페라 꼬미끄 극장에서 초연을 했는데 현재의 오페라와는 다른 형식으로 대사를 곁들인 오페라였습니다.

이것을 '꼬미끄 오페라'라 불렀습니다.

초연은 성공하지 못했고 이후 비제는 스펙터클한 스케일과 아리아 중심의 그랜드 오페라 형식으로 수정해 같은 해 10월 빈에서 공연을 하기로 합니다.

하지만 공연 전 비제의 사망으로 그의 친구 기로가 또다시 오페라를 수정합니다.

대사 부분을 아주 간단한 래치타티보*로 바꾸면서 주요 인물과 조연의 관계가 흐릿해져 극 속의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부분이 생겨 났습니다.

*래치타티보-오페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에서 쓰이는 창법으로 선율을 아름답게 부르는 아리아를 노래가 아닌 대사 내용에 중점을 둔 기법.

또, 기로는 제2막의 술집 장면에서 비제의 다른 작품을 응용해 발레를 추가하는가 하면 마지막 장면과 곡들을 서두로 옮기고 비제가 쓴 장사꾼들의 합창을 빼버리는 등 오페라는 그저 그런 관용화되어 버립니다.

하지만 공연은 성공적이었습니다.

파리에서 초연을 한 비제의 꼬미끄 형식의 '카르멘'은 "바그너의 아류"라는 까닭 없는 비평을 받았지만 기로의 그랜드 오페라는 당시 호평이 이어졌고 세계적인 인기 오페라로 뻗어 나가는 길잡이가 되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1964년 웨저가 카르멘의 교정판을 발표하면서부터 비제의 꼬미끄 오페라 형식의 원전판에 대한 관심이 집중이 되면서 지금은 그 공연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동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