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헤라자데(Scheherazade)'는 니콜라이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관현악 모음곡에 속한 곡으로 '천일야화'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입니다.
이 곡은 림스키의 상상력을 총 동원한 작품으로 관능적이고 오리엔탈적인 요소가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러시아 음악의 대표적인 풍부한 색채감과 동양 문화의 콜라보로 간결하면서 단순하지만 농도 짙은 선율은 세헤라자데의 핵심적인 성격으로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가장 대표적이고 최고의 명곡입니다.
***세헤라자데***
세헤라자데는 총 4악장으로 이루어진 모음곡입니다.
제1장. 바다와 신밧드의 배.
제2장. 칼렌다 왕자의 이야기.
제3장. 젊은 왕자와 젊은 공주.
제4장. 바그다드의 축제.
세헤라자데는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초연되면서 수준 높은 안무와 이국적이고 화려한 무대는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우리에게는 피겨여왕 김연아 선수가 2009년 4대륙선수권대회에서 세헤라자데의 배경음악으로 우승을 거머쥔 곡으로 더욱 유명합니다.
4악장 중 1악장이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고 악기가 가지고 있는 음색의 특징을 잘 살려서 자칫 단조로워지기 쉬운 악상을 관현악과 교묘하게 융합된 악장입니다.
오케스트라 연주가 입체적이고 풍부한 멜로디가 이어지다가 단독 악기의 소리가 도드라지게 돋보이는데 그 선율은 섬세하면서 가냘펴 두 귀를 쫑긋하게 만드는 짜릿함이 있습니다.
이런 요소를 잘 살린 곡이 '세헤라자데'입니다.
'세헤라자데'는 곡의 내용을 암시하고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으로 묘사한다는 점에서 표제음악을 응용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오케스트라 속의 악기들은 특정한 인물을 묘사하거나 독특한 음을 표현하면서 이야기 속의 특별한 의미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천일야화***
'세헤라자데'는 아라비안 나이트로 잘 알려진 이야기 '천일야화'의 스토리를 표현한 작품입니다.
아라비아의 왕 샤리아르는 여자를 믿지 못해 첫날밤을 함께 한 여성을 죽이는 버릇이 있었습니다.
이 사실을 안 세헤라자데는 한 가지 꾀를 냅니다.
세헤라자데는 매일 밤마다 왕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1000일 동안 들려주어 목숨을 유지하고 결국 왕은 잔혹한 행위를 멈추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니콜라이 림스키 코르사코프***
림스키 코르사코프는 러시아 음악가로 서양 음악사상 가장 뛰어난 관현악법을 구사한 인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관현악법은 오케스트레이션이라고도 하는데 특정 선율을 오케스트라의 악기에 편상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림스키는 이런 관현악법을 효과적으로 잘 응용해 오케스트라에 생기를 불어넣는 그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입니다.
그래서 림스키는 관현악법에 대한 책을 쓰기도 하고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문헌입니다.
림스키는 원래의 직업은 해군이었습니다.
어릴 때 음악을 접하긴 했지만 그는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 후 사관후보생으로 바다를 항해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틈틈이 독학으로 음악공부를 시작해 21살에 첫 번째 교향곡을 시작으로 음악의 길로 걷기 시작합니다.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작품으로는 '세헤라자데' 외에도 '왕벌의 비행', '스페인 기상곡', '오페라 금계' 등이 있습니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러시아 작곡가 차이코프스키의 3대 발레곡 중 하나인 호두까기 인형. 원작은 독일 작가인 에른스트 호프만의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입니다. 여기에 프랑스 작가 듀마가 각색을 하고 마리우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