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경의 시편 23편은 교회, 성당에서 가장 많이 불려지는 대표적인 성가곡입니다.
각 나라별로 시편 23편을 바탕으로 한 많은 성가곡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나운영 선생이 작곡한 성가곡이 있습니다.
나운영은 한국 전쟁을 피해 부산으로 내려와 해국정훈학교 찬양대 지휘를 맡았고 당시 정달목 목사의 권유로 한국적인 정서가 담긴 성가를 작곡합니다.
그는 시편 23편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에 멜로디를 붙여 한국 성가곡을 완성됩니다.
***시편 23편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나운영은 삶의 경험과 음악적 신념을 성가곡에 담아내려 노력했고 그 결과 한국적이지만 현대적인 종교 음악이 탄생됩니다.
전쟁을 피해 가족들과 함께 부산으로 피난을 갑니다.
낯설고 아는 사람하나 없는 부산에서 4명의 식구들이 좁은 단칸방에서 고생하며 살았다고 하죠.
일제의 압제에서 겨우 벗어났는데 다시 전쟁으로 인한 고통의 경험을 멜로디에 고스란히 담아내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현대화된 음악을 위해서는 먼저 전통 음악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는데 성가곡에도 반영됩니다.
국악의 리듬과 클래식의 선율을 혼합해 새롭고 현대적인 성가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를 완성합니다.
반응형
초연은 알토 유경손에 의해 불려졌습니다.
이날 연주자와 관객들은 시절의 아픔이 생생하게 전달되어 눈물을 흘렸다고 합니다.
공연 후 나운영은 '하느님께서 자신을 도구로 삼아 탄생한 영감에 의한 곡이다'라고 성가곡에 대한 소감을 이렇게 전했습니다.
한국적인 성가를 작곡하는 것이 자신의 소명임을 몸소 실천하며 1,000 여곡의 성가곡을 남겼습니다.
***시편 23편***
시편을 쓴 다윗은 하느님을 보호자로 칭하며 이루고 행하는 것들이 23편에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장이고 성경에서 유명한 구절로 전 세계 교회와 성당에서 대표적인 성가곡으로 작곡되고 불려지고 있습니다.
1.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2. 그가 나를 풀밭에 누이시며 쉴 만한 물 가로 인도하시는도다.
3.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자기 이름을 위해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 도다.
4.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인위하시나이다.
5. 주께서 내 원수의 목전에 내게 상을 차려 주시고 기름을 내 머리에 부으셨으니 내 잔이 넘치나이다.
6.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내가 여호와의 집에 영원히 살리로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Toccata and Fugue in D minor,BWV565)
'토카타와 푸가'는 독일의 작곡가 바흐의 오르간 곡입니다. 음악의 아버지라는 타이틀을 가진 바흐는 역대 대음악가 중 한 사람이면서 오르간 연주도 뛰어났습니다. '토카타와 푸가'는 그가 지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