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리스트,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반응형

리스트는 15세가 되던 1826년 자신의 스승인 체르니를 위한 피아노 연습곡을 작곡합니다.

하지만 뭔가 부족함을 느낀 그는 이 곡을 오랜 시간 동안 수정하고 다듬어 26년 후인 1852년 최종 완성되어 스승 체르니에게 헌정을 했습니다

그 곡이 바로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입니다.

이 곡은 피아노의 테크닉들을 정리하고 집대성한 12개의 연습곡으로 피아노의 기교와 표현력을 아낌없이 보여주는 곡들로 가득 채웠습니다.

리스트가 이 곡을 작곡한 데에는 파가니니의 영향력이 컸습니다.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연주를 들은 리스트는 그의 현란한 바이올린 기교에 감동을 받고 자신의 특기인 피아노에도 응용하기로 결심합니다.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초절기교 연습곡'의 제목은 원래 일본에서 번역한 것을 그대로 직역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곡의 제목대로 번역하면 '초월적인 연주를 위한 연습곡'이나 줄여서 '초월적인 연습곡'이 정확합니다.

화려한 피아노 기교가  포인트인 이 곡은 비르투오소*를 위한 극치라는 평가될만큼 다양한 리듬과 수많은 선율의 향연이 특징입니다.

*비르투오소-예술이나 문한 등의 특별한 지식을 겸비한 학자나 음악가를 가리키는 이탈리아어로 특히 피아니스트에게 주로 사용된다.

그만큼 12곡의 연습곡은 리스트의 피아노 곡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피아노의 교과서, 피아노의 바이블로 통합니다.

또, 리스트는 교향시 창시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의 음악은 시적인 표현력으로 유명한데 이 곡 역시 화려한 기교와 선율과 함께 시적 감각이 풍성한 곡들입니다.

이 곡을 감상한 슈만도 이들 곡들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리스트뿐이다라고 할 정도로 그의 시적 풍부함을 극찬했습니다.

반응형

<제1곡, 프렐루트>

곡의 도입을 장식하는 곡으로 화려하고 기교적인 테크닉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제2곡 로켓>

스타카토가 많이 사용되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제3곡, 풍경>

초여름의 싱그러운 전원을 그려지는 듯한 잔잔하고 서정적인 곡입니다.

<제4곡, 마제파>

리스트의 교향시 제6번 마제파와 같은 해에 작곡이 되었고 빅토르 위고의 시를 묘사해 전체적으로 회상곡과 같은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제5곡, 도깨비불>

독일의 전설 '사람 모습을 한 불이 나그네들을 사람들이 모르는 곳으로 유혹한다'에서 인용해 도깨비불이 보일 듯 말듯한 불꽃을 트레몰로로 섬세하고 정교하게 묘사했습니다.

<제6곡, 환영>

아르페지오를 위한 연습곡으로 자유로운 변주가 특징입니다.

<제7곡, 영웅>

행진곡풍으로 영웅의 위풍당당한 모습을 표현합니다.

<제8곡, 사냥>

사냥을 표현하기 위한 거친 리듬이 인상적입니다.

<제9곡, 회상>

과거를 회상하는 느낌의 곡으로 감미로운 선율이 특징입니다.

<제10곡, 열정>

제목같이 정열적이고 기교적인 곡입니다.

<제11곡, 밤의 선율>

저녁의 달빛과 같은 은빛 정경이 묘사되는 듯한 선율로 시적인 정취가 느껴지는 곡입니다. 슈만은 전 곡 중 가장 매력적이라도 극찬한 곡입니다

<제12곡, 눈보라>

기교를 과시하기 위한 곡이라 할 만큼 시정성과 음울함, 천둥, 번개를 표현한 기교가 압권입니다.

 

3번 마제파, 4번 도깨비불, 12번 눈보라의 빠른 템포와 기교는 피아니스트에게 악명이 높습니다.

그리고 9번 회상, 11번째 밤의 하모니는 서정적이고 잔잔한 곡으로 12개의 곡들은 극과 극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다른 스타일이라 전곡을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

<제5곡, 도깨비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