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4번 C단조, KV 491

반응형

'피아노 협주곡 24번'은 모차르트가 1786년에 완성한 곡으로 피아노 협주곡 22번, 23번 24번을 이어서 작곡을 했습니다.

24번이 완성되고 초연도 곧 이루어졌는데 모차르트가 직접 피아노 연주와 오케스트라 지휘도 같이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 무렵 모차르트는 피아노 협주곡도 연이은 완성과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에 집중하고 있을 때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초연은 틈새 시간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다고 하네요.

모차르트의 곡들은 대중의 취향을 맞추기보다는 새로운 것의 발견과 과감한 시도, 미래지향적이었습니다.

그래서 그의 작품들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천방지축 같은 매력이 있는데 그런 관점에서 '피아노 협주곡 24번'도 그 해석에 잘 맞아떨어지는 곡입니다.

때로는 청중들의 원성을 듣기도 했지만 그 독특함과 독창성과 예술성이 후대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특히, 베토벤은 이 곡에 대한 극찬을 아끼지 않았고 그의 피아노 협주곡 3번에 영향을 주기도 했습니다.

또, 브람스 역시 이 곡에 애정을 표현했고 현대 음악사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피아노 협주곡 24번***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4번'은 다양한 의미가 있습니다.

그는 평소 단조의 조성을 즐겨 사용하지는 않았습니다.

수많은 작품중에서도 반드시 심오한 의미를 전달해야 하는 곡에만 단조가 사용되었고 단 몇 곡에 불과했습니다.

협주곡은 대부분 장조이지만 피아노 협주곡 20번과 24번은 단조 협주곡으로 다소 이례적입니다.

그래서 모차르트의 협주곡 중에서 가장 진지하고 독특하며 드라마틱한 곡으로 통합니다.

또, 협주곡이라기엔 교향학적인 느낌이 더 강하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모차르트는 이제껏 협주곡에는 드물었던 대규모의 목관 악기의 구성했고 거기에 오보에와 클라리넷을 동시에 추가해 독립적이면서 와일드한 대규모 협주곡을 구성했습니다.

그래서 교향곡의 풍성한 사운드와 악장별로 펼쳐지는 다이내믹한 선율이 펼쳐지는 독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악장 구성***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4번'는 3악장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악장은 단조의 분위기가 물씬 풍기며 엄숙한 긴장감과 비극적이지만 화려한 멜로디를 담았습니다.

2악장은 론도 형식이지만 특이하게 느린 템포로 진행되고 이 곡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악장입니다.

피아노와 오케스트라의 주고 받는 케미가 돋보입니다.

3악장은 하나의 주제가 8개의 변주곡 형태입니다.

독특하게 반음계씩 올리며 변주가 이어지는데 왠지 불안하고 기괴하며 이상 야릇한 느낌이 맴도는 악장입니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글***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번 C단조, op.37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번 C minor, op.37

'피아노 협주곡 3번'은 베토벤이 작곡가로서 입지가 탄탄한 시절이었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치명적인 것은 그의 청각이 악화되어 거의 들을 수 없는 시점이기도 했습니다. 음악인으로서 가장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