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 중 'La donna é mobile(여자의 마음)'

반응형

리골레토는 3막 4장의 베르디의 대표적인 오페라로 1851년 초연됩니다.

프랑스의 문호 빅토르 위고의 희곡 '일락의 왕'을 바탕으로 한 오페라로 베르디는 소설 속 왕의 행동에 분노를 느껴 단 40일 만에 오페라를 완성합니다.

그는 원작의 내용 그대로 오페라를 만들었는데 왕과 광대 리골레토, 리골레토의 딸 질다의 사랑과 배신, 복수, 죽음으로 이어지는 내용 때문에 오페라의 원래 제목은 저주였다고 합니다.

오페라는 왕의 품격을 떨어트린다는 이유로 공연을 금지당했고 왕을 만토바 공작으로 저주에서 리골레토로 제목이 바뀐 후에야 경우 공연을 할 수 있었습니다.

리골레토

오페라는 청부살인이라는 끔찍한 소재와 터무니없는 이야기의 전개로 자극적이라는 비평과 비난을 받았지만 반대로 사람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오페라의 주인공 리골레토로 만토바 공작을 모시는 곱추의 외모를 가진 광대입니다.

바람기가 많은 만토바 공작은 리골레토의 딸 질다를 사랑하지만 금방 시들해져 버리고 배신을 합니다.

화가 난 리골레토는 자객에게 돈을 주고 공작을 제거할 계획을 세웁니다.

아버지의 계획을 안 질다는 여전히 만토바 공작에게 미련을 버리지 못해 아버지가 보낸 자객의 칼에 찔려 스스로 죽음을 택합니다.

죽은 딸의 주검을 안고 오열하며 실신하는 리골레토의 모습이 오페라의 마지막 장면입니다.

반응형

***La donna é mobile(여자의 마음)

3막에서 군복 차림의 만토바 공작이 스파라푸칠레의 바에서 의기양양하게 부르는 아리아로 리골레토의 상징적인 곡입니다.

여자의 마음은 변하기 쉽다는 내용으로  원래는 '여자의 마음은 깃털과 같다'라고 직역이 되는데 우리나라 정서와 문맥의 유연함을 위해 '여자의 마음은 갈대'라고 번역하기도 합니다.

경쾌하고 리드미컬한 선율이 인상적입니다.

 

***La donna é mobile(여자의 마음)

루치아노 파바로티의 여자의 마음

***같이 보면 좋은 글

 

오페라 리골레토(Rigoletto) 중 '그리운 그 이름(Caro Nome)'

베르디의 '리골레토(Rigoletto)'는 부녀의 안타깝고 슬픈 스토리를 담은 오페라입니다. 빅토르 위고의 희곡 '왕의 환락'을 원작으로 베르디의 중기 오페라 중에는 가장 드라마틱하고 대표적인 명작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