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곡, 민요

가곡 '내 마음' - 김동명의 시, 김동진 작곡

반응형

김동명의 시에 김동진 작곡의 '내 마음'은 1944년에 완성된 우리 가곡입니다.

김동진은 은사였던 김동명의 시 '내 마음'을 시간이 날 때마다 암송할 만큼 무척 좋아했습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산책 중에 시를 읊조리다 문득 멜로디가 떠올라 오선지에 그대로 옮기면서 가곡으로 탄생하게 됩니다.

단 하루 만에 완성된 이 곡은 누군가를 좋아하는 마음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가사와는 달리 잔잔하고 서정적인 멜로디가 대비를 이루면서도 조화롭습니다.

그리고 전통적인 선율과서양 음악의 기법이 접목되어 세련되고 감각적인 멜로디가 추가 되어 지금 들어도 촌스럽지 않아  현대 가곡의 가능성을 보여준 곡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한국가곡***

보통 가곡은 시에다 곡을 붙인 노래를 지칭합니다.

한국의 전통 가곡은 그 역사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가야 할 만큼 오래되었고 현대의 가곡의 기틀을 마련한 것은  조선의 판소리나 창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 가곡은 구한 말 기독교가 도입이 되면서 찬송가 등에 영향을 받아 일제 감점기에 조국을 구하기 위한 시에 맬로디를 붙인 것이 현대 가곡의 시초가 됩니다.

시간이 지나고 사회가 변화되어 가면서 점점 더 세련되고 복잡해지면서 최근 아트팝이라는 장르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가곡 '수선화'에 담긴 의미

 

가곡 '수선화'에 담긴 의미

'수선화'는 김동명의 시에 김동진이 멜로디를 붙인 가곡입니다. 김동명의 시는 1936년 그의 시집 '파초'에 실렸고 작곡가 김동진은 만주 교향악단에서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하던 시절 이 시를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