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탈리아 태생의 안토니오 비발디는 바로크 음악 작곡가로 '사계'가 상징적입니다.
1725년경 작곡된 이 곡은 비발디의 상징이자 바로크 음악의 진수이며 대규모 오케스트라를 연상되는 풍부한 선율의 현악 협주곡입니다.
폰의 벨 소리부터 지하철, 심지어는 대중음악에 응용하기까지 수많은 클래식이 존재하지만 우리 일상에 깊숙히 파고든 곡은 아마 '사계'일 겁니다.
원래는 12곡으로 된 화성과 창의의 시도의 일부분을 발췌한 곡입니다.
비발디는 화성과 창의의 시도에서 계절을 표현한 4곡만 선택해 완성했고 현재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제목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각 계절을 표현한 협주곡은 3악장씩 구성되어 있으며 곡 안에는 계절의 이미지를 설명하는 소네트가 있습니다.
새소리, 시냇몰 소리, 개 짖는 소리, 천둥소리 등 사계절의 변화를 선율로 절묘하게 표현되어 어떻게 묘사되었는지 곡 안에서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사계 중 가장 잘 알려진 곡은 '봄'입니다.
그 뒤를 이어 여름이 등장하는데 발랄한 봄의 음악과는 대조적입니다.
시작부터 느려진 선율이 더위에 지친 듯한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고 악기로 동물과 날씨의 변화를 표현한 재미를 느끼기에 충분한 파트입니다.
반응형
***사계 중 여름 소네트***
소네트는 짤막한 시를 의미하는데 당대 대문호들이 즐겨 쓰던 시이기도 합니다.
사계의 소네트는 비발디가 직접 썼다고 알려져 있지만 확실치는 않고 시구에서 베니스의 사투리가 사용되었는데 비발디의 편지에 베니스식 문구로 보아 추측만 있을 뿐입니다.
<1악장>
뜨거운 태양에 사람들과 동물들은 더위에 지쳐있다. 뻐꾸기와 비둘기, 방울새가 지저귀고 산들바람이 불어온다. 갑자기 바람이 휘몰아치고 주위는 불안감에 휩싸인다. 양치기도 두려움에 눈물을 훔친다.
<2악장>
번개와 청둥, 파리떼의 위협으로 피곤한 몸은 휴식을 취하기 어렵다. 양치기는 어쩔 줄 모르며 시원한 옷을 입고 따뜻한 음식으로 더위를 달랜다.
<3악장>
하늘이 갈라진듯한 번쩍이는 번개와 우뢰가 들리며 우박이 쏟아진다. 들판에서 익어가는 곡식들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우박을 맞고 여기저기 쓰러진다.
***동영상***
<비발디의 사계 중 여름>
***같이 보면 좋은 글***
사계 - 사계절에 담긴 스토리와 비발디
사계 - 사계절에 담긴 스토리와 비발디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음악라면 단연 비발디의 '사계'입니다.바쁜 도심의 생활에서 계절이 바뀌는 소리는 달력, 풍경이 아닌 영상이나 TV에서 들려오는 사계의 멜로디에서 먼저 느끼기도 하죠.'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