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곡, 민요

가곡 '기다리는 마음' - 탄생 배경과 의미

반응형

가곡 '기다리는 마음'은 김민부 작시, 장일남의 작곡으로 1951년 완성되었습니다.

이후 1968년 문화방송 라디오에서 한국 전쟁으로 인한 이산가족의 아픔을 달래고자 장일남에게 가곡을 의뢰했고 그는 예전에 써놓은 곡을 선택하는데 바로 '기다리는 마음'입니다.

가곡의 가사는 당시 국민들의 현실에 정곡을 찌르며  전국적인 사랑을 받게 됩니다.

이후, 1976~1977년 TBC 주말 연속극 결혼 행진곡의 주제곡이 되면서 국민 가곡이 되었고 장일남은 '비목'과 가곡 작곡가로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됩니다.

***가곡의 탄생 배경

장일남은 황해도 해주 출신이었는데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연평도로 거처를 옮겨 1년 정도 머뭅니다.

어느 날 산책 중에 제주도 망부석 시가를 보게 됩니다.

망부석의 시가는 제주도에서 목포로 떠난 남자는 목포 월출봉에 올라 제주도에 두고 온 여인을 그리워했고 여자는 성산 일출봉에서 목포를 바라보며 남자를 그리워하다 망부석이 되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절절하고 안타까운 러브 스토리에 그는 영감이 떠올랐고 시가에 멜로디만 붙여 '기다리는 마음'으로 곡명을 붙입니다.

반응형

***기다리는 마음***

장일남은 문화 방송에 의뢰받았을 당시 가곡을 다시 검토해며 고민에 빠집니다.

제주도 방언을 그대로 옮겨 쓴 가사이다 보니 대중들이 그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는 방송 작가로 활동한 김민부에게 표준어로 바꿔달라 요청했고 개사한 가사를 붙여 현재의 가곡이 됩니다.

가곡은 전체적으로 짙게 깔려있는 슬픈 분위기는 자아내는 단조와 변화가 거의 없는 수평적인 선율이 특징입니다.

음악적으로는 전통 민요와 유럽의 클래식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는데 전통 가곡에서 현대적인 가곡으로 가는 교두보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같은 음이 반복은 마치 시조를 읊조리거나 절제된 감정을 표현하기도 하는데요, 그렇기에 기다림에 대한 슬픔을 더욱 강조되기도 합니다.

 

일출봉에 해 뜨거든 날 불러주오

월출봉에 달뜨거든 날 불러주오

기다려도 기다려도 임 오지 않고 

빨래소리 물레소리에 눈물 흘리네

 

봉덕사에 종 울리면 날 불러 주오

저 바다에 바람 불면 날 불러주오

기다려도 기다려도 임 오지 않고 

파도소리 물새소리에 눈물 흘렸네

 

*봉덕사 - 신라 시대 성덕대왕신종이 있었던 경주 부근의 사찰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우리 가곡 '비목' - 전쟁의 아픔이 담긴 곡

 

우리 가곡 '비목' - 전쟁의 아픔이 담긴 곡

전쟁의 참혹감이 잘 묘사된 가곡 '비목'은 한명희 작사, 장일남 작곡으로 1969년에 발표되었습니다. 나무로 만든 비석을 의미하는 '비목'은 한명희의 경험담이 담긴 노랫말로 한국 전쟁의 실상과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