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곡, 민요

가곡 '사랑' - 가사의 해석과 의미

반응형

이은상, 작사 홍난파 작곡의 '사랑'은 맑고 깨끗한 아름다운 선율의 우리나라 대표적인 가곡입니다.

사랑이 없다고 생각을 하면서도 쉽게 놓지 못하고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 어딘가에 있었으면 좋겠다는 내용으로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옛말이 가득하지만 순수하고 애절한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멜로디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오래전 가곡이라기엔 지금 들어도 부족함이 없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품격이 묻어나는 가곡입니다.

작곡가 홍난파는 우리나라 가곡사에 있어서 큰 획을 그은 상징적인 음악가로 바이올린 연주자, 가곡 및 동요 작곡가, 지휘자 등의 업적을 남겼습니다.

봉선화, 고향의 봄 등 현재까지 이어지는 가곡, 동요들 중에는 홍난파의 곡들이 다수이고 그중 '사랑'은 시대를 앞서간 현대적인 감각적인 음악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듯합니다.

반응형

***가사의 해석***

1.

탈대로 다 타시오 타자 말진 부대(부디) 마소

타고 다시 타서 재 될 법은 하거나와

타다가 남은 동강은 쓸 곳이 없느니라.

 

2.

반 타고 꺼질진대 애제(아예) 타지 말으시오

차라리 아니타고 생낙(생나무)으로 있으시오

탄진대 재 그것조차 마저 탐이 옳으니다.

 

<해석>

1. 

탈대로 타 타세요 타다가 말 거면 하지 마세요.

타고 다시 타서 재가 되는 건 너무 당연한 거잖아요.

타다가 남은 동강(타고 남은 재)은 쓸 곳이 없어요.

 

2. 

절반만 타고 꺼질 거면 처음부터 타지 마세요.

차라리 시작조차 하지 말고 그냥 생나무로 있어요.

기왕 타기로 마음먹었다면 재조차 타는 것이 옳아요.

 

***동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가곡 '그 집 앞' - 첫사랑을 품은 가곡

 

가곡 '그 집 앞' - 첫사랑을 품은 가곡

'그 집 앞'은 이은상이 작사하고 현제명이 곡을 붙인 가곡입니다. 1933년 발표된 이 곡은 '현제명 작곡집 제2집'에 수록된 곡으로 현제명의 독창으로 발표된 곡입니다. '그 집앞'은 현제명의 음악

d3eu740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