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844년 탄생한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베토벤, 브람스와 함께 세계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불리며 멘델스존의 대표작이면서 최고의 걸작이자 생애 마지막 명작입니다.
그리고 19세기에 완성된 차이코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더불어 낭만주의 음악의 진수라고 평가받기도 합니다.
정열적인 선율 속에 섬세한 감성이 멘델스존의 음악이라는 것을 입증하고 바이올리니스트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이자 교과서와 같은 곡이기도 합니다.
***바이올린 협주곡***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시작과 함께 독주 연주가 시작된다는 점이 이채롭습니다.
깊은 통찰보다는 로맨틱한 부드러움을 추구하고 있어 음악 그 자체를 즐기기에 좋은 곡이죠.
멘델스존은 낭만주의 음악의 대가이지만 그렇다고 고전주의 음악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습니다.
그의 어린 시절 선대 음악가들의 대위법, 푸가 등을 학습했고 이후 멘델스존의 음악적 특징이 되기도 합니다.
바이올린 협주곡도 낭만적인 이미지가 물씬 풍기지만 그 안에는 고전적 정서도 함께인 이유입니다.
반응형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사실 2곡이 있습니다.
첫번째 협주곡은 형식적이든, 전체적이든 미흡했고 두 번째가 현재의 바이올린 협주곡입니다.
첫 번째 협주곡의 실패로 멘델스존은 그의 친구이자 바이올리니스트인 다비트와 협주곡 작곡에 대해 자주 조언을 구했다고 합니다.
바이올린 협주곡은 다비트의 많은 의견들이 반영되어 모범적인 협업의 선례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다비트의 바이올린에 대한 고찰과 멘델스존의 신중함과 열정, 천재성이 합쳐져 이렇게 '바이올린 협주곡'이 탄생됩니다.
1838년에 착수해 무려 6년이란 시간을 투자해 완성합니다.
긴 시간에 비해 연주는 30여분의 다소 짧은 편입니다.
고전적인 전체 3악장이지만 새로운 구성을 접목했다는 점에서 참신함이 돋보이고 모든 악장이 쉴 새 없이 멜로디가 이어지지만 혼란보다는 오히려 질서 정연합니다.
***바이올린 협주곡 1악장***
1악장은 Allegro molto appassionato로 '열정적으로 매우 빠르게'라고 되어 있습니다.
도입부는 우아하게 바이올린의 선율이 낭만적이고 로맨틱한 멜로디를 선사하고 이후 기존의 틀을 깨는 부분이 나타나면서 바이올린의 독주가 대규모의 오케스트라를 이끌어가는 이례적인 구성을 취하고 있습니다.
1악장의 대부분은 이렇게 바이올린을 선두로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이끌어가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힘차고 화려하게 마무리합니다.
***동영상***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1악장>
***같이 보면 좋은 글***
멘델스존의 '결혼 행진곡' - 한 여름밤의 꿈
멘델스존의 '결혼 행진곡' - 한 여름 밤의 꿈
결혼식에 가면 의례히 듣는 두 곡이 있습니다. 하나는 멘델스존의 결혼 행진곡이고 나머지는 바그너의 혼례의 합창입니다. 그 중에에 멘델스존의 결혼 행진곡은 식의 마무리 단계에서 신랑 신
d3eu7403.tistory.com
반응형